[Notice] Announcing the End of Demo Server [Read me]
#3 왜 Yona를 써야 하나? (Why Yona?)
Tasks
Yona: 설치형 이슈트래커 + 코드 저장소
요약
- 메일기반보다 이슈트래커를 기반으로 일을 하게되면 여러가지 효율이 증가 됩니다.
- 네이버는 몇 년 전 부터 이 제품을 기반으로 SW개발 뿐 아니라 일반 업무진행까지 사내 업무의 다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그 외에도 게임회사, 통신회사 고객센터, 투자사, 학교, 기업등에서 실제 사용되고 있는 Real World Application 입니다
왜 Yona를 써야 하나? #
- 함께 일하면서 찾아가는 진정한 가치, 소통과 협업
- 팀 업무 및 회사의 업무 생산성이 높아지며 정보의 생성, 축적, 공유가 훨씬 좋아집니다.
- Yobi는 시작단계에서부터
프로젝트
와이슈
,담당자
라는 최소한의 장치로 최대의 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 개발조직/비개발조직 간의 진정한 협업을 지향
- 세상엔 다양한 도구들이 있지만, 개발팀 위주의 기능으로 만들어져 있거나 혹은 비 개발자/스텝들만이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 대다수입니다.
- 코드를 참조해서 이야기하고, 디자인 시안을 같이 보고, 만들어진 HTML/CSS 파일을 별도의 서버 없이 바로 보며 함께 이야기할 수 있는 도구는 거의 없습니다.
- Yona는 기획자부터 시작해서 코드를 커밋하는 개발자까지 한 플랫폼에서 서로 공간을 오가며 막힘없이 같이 일할 수 있는 SW입니다.
- 쉬운 화면 간단한 사용방법
- 직관적인 메뉴 구성, 불필요한 메뉴 제거, 간편한 파일 첨부, 공유 등을 매우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모든 데이터/업로드된 파일/소스코드 등에 대한 완전한 소유 및 접근
- Yona는 설치형으로 제공됩니다.
- 따라서 필요한 만큼 보완수준을 높이거나 낮출 수 있으며
- 데이터 및 자료에 대한 확실한 보호 및 원하는 형태로의 모든 접근이 가능합니다.
- 또한, 외부 서비스의 정책 변경, 종료 등 다양한 의도치 않은 상황에 Yona 사용조직은 충격을 받지 않게 됩니다
믿고 쓸만 한가?#
- 엔터프라이즈 레벨의 실적용 사례 기반 SW
- Yona의 전신인 Yobi는 이미 '네이버'내부에서 수천 명이 수천 개의 프로젝트를, 수년간 매일같이 실제 제품, 서비스를 만드는 데에 사용해 왔습니다.
- 또한, 비 개발팀/Staff 조직 등 다양한 조직에서도 진입장벽 없이 사용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 메일로 진행하던 업무를 이슈 기반으로 변경하는 등 전반적인 업무스타일에 변화를 가져올만큼 쉽게 강력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 현재 약 40% 가량의 프로젝트는 code가 존재하지 않는 공동 업무 진행을 위해 만들어진 이슈 트래킹 프로젝트입니다.
- TF, 문서저장소, 스터디, 개인 학습정리용 등등 사용이 쉽고 강력해서 많은 팀들이 코드 없는 프로젝트로 불필요한 메뉴를 감추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 현재 약 200여개의 사이트에서 Yona의 전신인 Yobi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 더 나은 Yobi
- Yona는 속도, 안정성, 기능, UI 등 모든 면에서 더 나은 Yobi입니다.
- 수정 가능하고 공개된 코드
- 오픈소스로 제공되기 때문에 필요하면 코드를 고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라이선스 관리
- Yona는 기본적으로 Apahce2 라이선스를 준수하며
- Yona를 사용하는 조직이 그 자체를 상용화해서 판매해도 문제가 없을 정도로 사용 라이브러리 및 설치 사용 시의 라이선스 관리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습니다.
'Yona는 속도, 안정성, 기능, UI 등 모든 면에서 더 나은 Yobi입니다.'의 근거는 뭔가요? 현재는 거의 같은 코드아닌가요?
https://repo.yona.io/yona-projects/yona/post/4 이 속도, 안정성이 더 높아질수 있는 근거가 되겠군요
네 맞아요.
그런데 작업시작 자체가 Yobi의 마지막 공개배포판인 Yobi 0.8.2 기준으로 포크해서 MariaDB를 적용한 다음 DB, Application 양쪽에서 각각 조정해 나가고 있습니다.
DB의 경우 테이블 블럭 사이즈 조정부터 시작해서 DB스키마를 전체 다시 생성해서 적용했고 인덱스는 불필요한 부분 하나씩 제거하면서 다시 걸고 있어요.
Application 레벨에서도 튜닝중인데요 내부에서 이미 처리한 부분 참고할 수 있는건 하고
그 외에도 예전부터 처리하려고 했던 부분들도 적용해 보려고요.
1.0 릴리즈 목표가 다음주 월요일 밤이니까 그 때까지 작업한 내용 포함시켜서 릴리즈하고 내부로도 보내볼까 생각중이에요.
:D
요비를 사용하나 요나 프로젝트로 변경됨을 알고 접속해봤습니다.
현재 제공해주시는 데모 repo.yona.io 는 웹호스팅 성격으로 서비스가 되는건가요?
이곳에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사용이 가능한건가요?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유명호_COO
안녕하세요? repo.yona.io는 웹호스팅 성격으로 운영한다기보다는 현재 최신 버전의 Yona가 어떤 모습인지 볼 수 있도록 운영하는 일종의 데모서버입니다.
다만 데이터를 지우거나 할 계획은 현재로는 없기 때문에 원하시면 프로젝트 생성해서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감사합니다.
데이터에 부담이 안가는 선에서 사용하겠습니다.
안드로이드 및 IOS 지원할까요? 예를 들어 개발여부라던지, 푸시알림이라던지요.
@seung woo Kang 전용앱을 말하시는거라면 현재는 따로 만들 계획은 없습니다. 반응형웹과 메일노티를 이용해서 동작합니다
전용 앱을 말하시는거라면 아쉽지만 현재 계획없습니다.
나의 iPad에서 보냄